의대생 복귀 속 與만난 전공의…"수련환경 개선·법적부담 완화"
"사태해결 위한 논의 이어가기로…전공의 요구·수련재개 시기 논의 안돼"

X
국회 보건복지위-전공의 간담회 (서울=연합뉴스) 김주성 기자 =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회의실에서 열린 중증·핵심의료 재건을 위한 간담회에서 박주민 위원장과 대한전공의협의회 한성존 신임 비상대책위원장(오른쪽)이 대화하고 있다. 2025.7.14 utzza@yna.co.kr

(기사발신지=연합뉴스) 김잔디 기자 = 의대생들이 전격 복귀를 선언한 가운데 선배인 전공의들이 14일 여당 더불어민주당 소속 국회 보건복지위원들과 만나 중증·핵심 의료 재건을 위해 수련환경 개선과 의료사고 법적 부담 완화가 필수라고 강조했다.

전공의들과 여당 의원들은 의정 사태 해결을 위해 논의를 이어가자고 뜻을 모았으나, 전공의 복귀 시기나 전공의들의 요구사항에 대한 구체적인 이야기는 나누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성존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와의 간담회 에서 "(의정갈등으로) 우리가 자랑스럽게 생각하던 대한민국 의료체계는 무너지기 직전의 상황이지만, 잘잘못을 따지는 걸 넘어 우리는 이 자리에서 살아가야 할 미래 세대이기 때문에 중증·핵심 의료를 재건하고자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한 위원장은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과 수련의 연속성, 의료현장의 법적 리스크 완화는 대한민국 미래 의료를 위한 주춧돌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공의들은 전문의가 되고자 수련하는 피교육자이자, 병원에서 근무하는 근로자로서의 '이중적 지위'를 가진 전공의들이 양질의 교육을 받기보다는 과중한 업무 부담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다고 토로했다.

김재연 대전협 비대위원은 "의정사태가 벌어지기 이전부터 중증 핵심 진료를 담당하는 전공의들은 교육보다 업무에 많이 치중해왔다"며 "전공의들의 편한 수련을 위해서가 아닌 환자들의 안전과 더 나아가 국가 보건 의료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 수련환경 개선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박경수 대전협 비대위원은 "기존의 중증·핵심의료 전공의들이 수련을 포기한 이유의 80% 이상은 의료 사고에 대한 법적 부담감 때문이고, 78% 정도는 정부의 일방적인 정책 추진으로 인한 미래의 불확실성 때문"이라며 법적 부담이 해소될 경우 중증·핵심의료 기피 현상도 자연스레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전공의 발제 이후 비공개로 전환된 이날 간담회는 전공의들과 상임위원들이 중증·핵심 의료 재건을 위한 방안을 함께 논의하고, 지속해서 소통하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마련됐다.

1시간 50분가량 간담회 후 박주민 위원장 측은 "핵심·중증 의료 현장의 어려움이나 제도적 개선에 관한 이야기를 주로 나눴다"며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 등 당면 과제, 중장기 과제를 함께 해결하기로 공감대를 이뤘다"고 전했다.

이어 "국민과 환자를 위해 사태 해결을 위한 논의를 이어가자고 뜻을 모았다"며 "다만 전공의 요구사항이나 수련 재개 시기 등 구체적인 이야기는 이뤄지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박 위원장은 "최근 의대생들이 복귀하겠다고 밝힌 흐름이 이어져 전공의들도 복귀할 수 있는 기반이 만들어졌으면 좋겠다"며 "수련현장에서 느꼈던 제도 개선의 필요성에 대해 잘 듣고 꼼꼼히 살펴 챙기겠다"고 약속했다.

jandi@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