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이치·명태균·건진…16개 의혹 동시다발 겨냥한 김건희특검
수사 개시와 함께 김 여사 정조준…조기 전격 소환 가능성도
X
김건희특검, 현판식과 동시에 수사 개시…"여러 의문에 답할 것"
(기사발신지=연합뉴스) 이영섭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와 관련한 각종 의혹을 들여다볼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2일 수사를 정식 개시했다.
주요 사건들의 경우 이미 수사가 상당부분 이뤄진 만큼 특검팀이 조만간 의혹 핵심 관계자들을 소환하거나 압수수색 등 강제 조처를 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특검법상 특검팀의 수사 대상은 16건에 이른다.
이 중 규모와 국민적 관심이 가장 큰 사건은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개입 의혹이다. 수사대상을 나열한 특검법 2조 1항에 가장 먼저 명시된 사건이기도 하다.
2009∼2012년 발생한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에 김 여사가 돈을 대는 '전주'(錢主)로 가담했다는 게 의혹의 뼈대다.
이 사건으로 권오수 전 도이치모터스 회장과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 등 9명이 기소돼 대법원에서 전원 유죄를 확정받았다.
법원이 김 여사 계좌 3개와 김 여사 모친 최은순씨의 계좌 1개가 시세조종에 동원됐다고 판결문에 적시하며 김 여사를 향한 수사 여론도 강해졌다.
하지만 검찰은 작년 10월 김 여사에게 주가조작 공모·방조 혐의가 없다고 보고 불기소 처분했다. 권 전 회장을 믿고 수익을 얻으려 계좌 관리를 맡겼을 뿐 시세조종 범행을 알지 못했다는 판단에서다.
김 여사와 유사한 '전주' 역할을 한 손모 씨가 법원에서 주가조작 방조 혐의 유죄를 확정받으면서 검찰이 김 여사에 대해서만 '봐주기 수사'를 한 게 아니냐는 비판이 나왔다.
X
김건희 여사 [공동취재] 2025.6.3
정치브로커 명태균씨 관련 의혹도 특검팀이 출범한 주요 사유 중 하나다.
명씨는 다수의 수사 대상 사건에 등장하는데, 이 중 혐의가 가장 중대한 것은 대선·공천 개입 의혹이다.
윤 전 대통령 부부가 2022년 20대 대선 과정에서 명씨로부터 여론조사를 무상으로 받은 대가로 그해 치러진 6·1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이 경남 창원 의창 선거구에 공천받도록 했다는 내용이다.
윤 전 대통령 부부가 2020년 4·15 총선, 2021년 4·7 재보궐선거, 2022년 6·1 지방선거, 작년 4·10 총선 공천에 개입했다는 의혹 사건 역시 특검에 이첩된 상태다.
앞서 사건을 맡은 검찰은 주요 관계자들에 대한 조사를 마치고 김 여사에게 세 차례 소환을 통보했으나, 김 여사 측은 모두 응하지 않았다.
건진법사 청탁의혹도 핵심 수사 대상 중 하나다.
건진법사로 알려진 무속인 전성배씨가 통일교 측으로부터 받은 '김 여사 청탁용' 다이아몬드 목걸이, 명품 가방을 교단 현안 청탁과 함께 김 여사에게 전달했다는 내용이다.
전씨와 접촉한 통일교 윤모 전 세계본부장은 통일교의 캄보디아 메콩강 개발사업 지원, YTN 인수, 유엔 제5사무국 한국 유치, 대통령 취임식 초청 등을 청탁한 것으로 파악됐다.
전씨는 윤씨로부터 다이아몬드와 명품 가방을 받은 것은 맞지만 잃어버렸다고 검찰에 진술했다.
사건을 담당한 서울남부지검은 전씨가 샤넬백을 받은 직후 김 여사 수행비서인 윤모 전 행정관에게 다른 제품으로 교환하라고 지시한 점을 밝혀냈지만, 끝내 제품 실물은 확보하지 못했다.
국토부가 2017년부터 추진해온 서울∼양평고속도로 사업에서 노선 종점을 김 여사 일가 땅 근처로 갑작스럽게 바꿨다는 '양평 고속도로 특혜 의혹' 역시 특검팀이 적잖은 인력을 투입해 들여다볼 것으로 예상된다.
X
민중기 VS 김건희 [촬영 권준우] 2025.6.19 [공동취재] 2025.6.3
이 외에도 김 여사가 삼부토건·우리기술 주가조작에 개입됐다는 의혹, 김 여사가 운영하던 코바나컨텐츠가 전시회를 빌미로 기업들로부터 부정한 협찬을 받았다는 의혹, 윤 전 대통령이 대선후보 시절 김 여사의 허위 경력 의혹과 관련해 거짓 해명해 공직선거법을 위반했다는 의혹 등 숱한 사건이 특검의 수사 범위에 포함된다.
특검팀은 특검보 4명이 의혹을 분담해 각 2∼3개 수사팀을 운영하겠다는 방침이다.
지난 20일의 준비기간 동안 사건 기록을 넘겨받아 검토했을 이들은 조만간 명태균씨나 건진법사 전성배씨 등 주요 인물을 소환할 것으로 전망된다.
내란 특검팀이 윤 전 대통령부터 소환했듯 의혹의 '정점'인 김 여사부터 전격 소환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youngle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