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지] 尹 비상계엄 선포부터 내란특검 재구속까지
X
입 굳게 닫은 채 법정으로 향하는 윤석열 전 대통령 (서울=연합뉴스) 12·3 비상계엄과 관련해 특검의 수사를 받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9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영장실질심사에 출석하고 있다. 2025.7.9 [사진공동취재단] photo@yna.co.kr
(기사발신지=연합뉴스) 이도흔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10일 재구속됐다.
서울중앙지법 남세진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이날 오전 "증거를 인멸할 염려가 있다"라며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 3월 8일 법원의 구속취소 결정으로 석방된 지 124일만에 다시 구치소에 수용됐다.
'12·3 비상계엄 사건'을 수사하는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는 지난 6일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했고, 법원은 9일 6시간40분에 걸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진행했다.
윤 전 대통령 신병을 확보한 내란 특검은 12·3 비상계엄 관련 '본류' 사건인 외환 혐의 수사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인다.
다음은 비상계엄 선포부터 윤 전 대통령 재구속까지 주요 일지.
X
국회 본관 진입 준비하는 계엄군 (서울=연합뉴스) 김주성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3일 밤 비상계엄을 선포한 가운데 4일 자정께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 본관으로 계엄군이 진입 준비를 하고 있다. 2024.12.4 utzza@yna.co.kr
◇ 2024년
▲ 12월 3일 = 윤석열 전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
▲ 12월 4일 = 국회,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통과. 윤 전 대통령, 계엄 해제 선언.
▲ 12월 6일 = 대검찰청,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본부장 박세현 서울고검장) 구성
▲ 12월 7일 = 윤 전 대통령 1차 탄핵소추안, 국회 의결 정족수 부족으로 투표 불성립.
▲ 12월 11일 = 윤 전 대통령, 검찰 1차 소환 통보 불응
▲ 12월 14일 = 윤 전 대통령 2차 탄핵소추안, 국회 본회의서 가결.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체제 전환.
X
탄핵소추안 가결 후에도 계속되는 시민 집회 (대전=연합뉴스) 강수환 기자 = 15일 오후 대전역 서광장에서 대전촛불행동 등 시민 100여명이 '대전촛불대행진' 집회를 열고 있다. 이들은 윤석열 대통령 구속 수사와 헌법재판소의 신속한 탄핵 인용을 촉구하고 있다. 2024.12.15 swan@yna.co.kr
▲ 12월 17일 = 공수처, 윤 전 대통령에 1차 소환 통보
검찰, 윤 전 대통령에 2차 소환 통보.
▲ 12월 18일 = 윤 전 대통령, 공수처 1차 소환 불응
▲ 12월 20일 = 공수처, 윤 전 대통령에 2차 소환 통보
▲ 12월 25일 = 윤 전 대통령, 공수처 2차 소환 불응
▲ 12월 30일 = 공수처, 서울서부지법에 윤 전 대통령 체포영장 청구
▲ 12월 31일 = 서울서부지법, 윤 전 대통령 체포영장 발부.
◇ 2025년
▲ 1월 3일 = 공수처, 윤 전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 1차 시도 실패
▲ 1월 5일 = 서울서부지법, 체포·수색영장 관련 윤 전 대통령 측 이의신청 기각
▲ 1월 6일 = 공수처, 서울서부지법에 윤 전 대통령 체포영장 기한 연장 재청구
▲ 1월 7일 = 서울서부지법, 윤 전 대통령 체포영장 재발부
▲ 1월 13일 = 공수처, 국방부·대통령경호처에 체포영장 집행 협조 공문 발송
▲ 1월 15일 = 공수처, 윤 전 대통령 체포. 10시간 40분 조사
윤 전 대통령 측, 서울중앙지법에 체포적부심사 청구
윤 전 대통령, 서울구치소 구금.
X
서울 구치소 도착한 윤석열 대통령 (의왕=연합뉴스) 김성민 기자 =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체포돼 첫날 조사를 마친 윤석열 대통령이 15일 오후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로 향하고 있다. 2025.1.15 [공동취재] ksm7976@yna.co.kr
▲ 1월 17일 = 공수처, 서울서부지법에 윤 전 대통령 구속영장 청구
▲ 1월 18일 = 서울서부지법 차은경 부장판사, 윤 전 대통령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
X
윤석열 대통령, 구속심사 위해 서울구치소 출발 (의왕=연합뉴스) 홍기원 기자 =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체포된 윤석열 대통령이 탄 차량 행렬이 구속 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을 받기 위해 18일 경기도 의왕시 서울구치소에서 나와 서울서부지법으로 향하고 있다. 2025.1.18 [공동취재] xanadu@yna.co.kr
▲ 1월 19일 = 서울서부지법, 윤 전 대통령 구속영장 발부
▲ 1월 23일 = 공수처, 검찰에 윤 전 대통령 공소제기 요구 송부
검찰, 서울중앙지법에 윤 전 대통령 구속기간 연장 신청
▲ 1월 24일 = 서울중앙지법, 윤 전 대통령 구속기간 연장 신청 불허
▲ 1월 25일 = 검찰, 서울중앙지법에 윤 전 대통령 구속기간 연장 재신청
서울중앙지법, 윤 전 대통령 구속기간 연장 재신청 불허
▲ 1월 26일 = 심우정 검찰총장, 전국 검사장 회의 개최
검찰, 윤 전 대통령 '내란 우두머리 혐의' 구속기소
▲ 2월 4일 = 윤 전 대통령, 서울중앙지법에 구속취소 청구
▲ 2월 20일 = 서울중앙지법, 윤 전 대통령 구속취소 심문.
▲ 3월 7일 = 서울중앙지법, 윤 전 대통령 구속취소 청구 인용.
▲ 3월 8일 = 대검, 윤 전 대통령 구속취소 즉시항고 포기. 윤 전 대통령 석방.
▲ 4월 1일 = 헌재, 윤 전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기일 4일로 지정.
▲ 4월 4일 = 헌재, 윤 전 대통령 파면 선고.
X
외신, 헌재 결정 타전 (서울=연합뉴스) 헌법재판소가 4일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을 결정하자 주요 외신들이 이를 일제히 주요 기사로 신속히 보도했다. 사진은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CCTV, BBC, NHK, CNN. 2025.4.4 [CCTV, BBC, NHK, CNN 홈페이지 캡처. 재판매 및 DB금지] photo@yna.co.kr
▲ 6월 5일 = 윤 전 대통령, 경찰 특별수사단 1차 출석요구 불응.
▲ 6월 12일 = 윤 전 대통령, 경찰 특별수사단 2차 출석요구 불응.
이재명 대통령, 내란 특검에 조은석 전 감사원장 권한대행 지명.
▲ 6월 18일 = 내란 특검, 수사 개시. 김용현 전 장관 추가 기소 및 구속영장 발부 요청
▲ 6월 19일 = 윤 전 대통령, 경찰 특별수사단 3차 출석요구 불응.
▲ 6월 24일 = 내란 특검, 서울중앙지법에 윤 전 대통령 체포영장 청구.
▲ 6월 25일 = 서울중앙지법, 윤 전 대통령 체포영장 기각. 내란 특검, 윤 전 대통령에 28일 출석 통보.
X
조은석 VS 윤석열 [촬영 박지호] 2014.3.14 [사진공동취재단 제공] 2025.6.16
▲ 6월 28일 = 윤 전 대통령, 내란특검 1차 대면조사 출석…15시간 조사
▲ 6월 29일 = 내란 특검, 윤 전 대통령에 30일 재출석 요구. 윤 전 대통령 측 출석기일 변경 요청 받아들여 7월 1일로 출석 일자 재통보
▲ 6월 30일 = 윤 전 대통령 측, 2차 조사기일 연기 요청. 내란특검, 윤 전 대통령 측 요청 불허
▲ 7월 1일 = 윤 전 대통령, 내란 특검 2차 소환조사 불응. 내란 특검, 5일로 조사 일자 재지정해 출석 요구
▲ 7월 2일 = 내란 특검, 한덕수 전 국무총리,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소환
X
특검 조사 마친 윤석열 전 대통령 (서울=연합뉴스) 김성민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5일 내란 특검 2차 조사를 마치고 조은석 특별검사팀 사무실이 있는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을 나서고 있다. 2025.7.6 ksm7976@yna.co.kr
▲ 7월 3일 = 내란 특검, 김주현 전 민정수석·김성훈 전 경호처 차장 소환
▲ 7월 4일 = 내란 특검, 이주호 교육부 장관·박종준 전 경호처장 소환
▲ 7월 5일 = 윤 전 대통령, 내란 특검 2차 대면조사 출석…14시간 반 조사
▲ 7월 6일 = 내란 특검, 윤 전 대통령 구속영장 청구
▲ 7월 9일 = 서울중앙지법, 남세진 영장전담 부장판사 심리로 윤 전 대통령 구속 전 피의자 심문 6시간 40분 진행
▲ 7월 10일 = 서울중앙지법, 윤 전 대통령 구속영장 발부
X
영장실질심사 출석하는 윤석열 전 대통령 변호인단 (서울=연합뉴스) 윤석열 전 대통령 변호인단이 9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윤석열 전 대통령의 영장실질심사에 출석하기 위해 법정으로 향하고 있다. 2025.7.9 [사진공동취재단] photo@yna.co.kr
leed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