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광역시 청사
대전시가 대한민국 양자기술의 중심지로서의 위상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국가 핵심 R&D 과제 「양자컴퓨팅 서비스 및 활용체계 구축사업」의 주관기관으로 대전 소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최종 선정됨에 따라, 국내 최초 상용 양자컴퓨터가 대전에 설치된다.
대전시는 10일, 이번 사업을 통해 미국의 양자컴퓨팅 전문기업 ‘아이온큐(IONQ)’가 개발한 100큐비트급 상용 양자컴퓨터 ‘Tempo’가 오는 2026년까지 KISTI 대전 본원에 구축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양자컴퓨팅의 본격적인 상용화를 위한 핵심 기반을 마련하고, 기존 국가슈퍼컴퓨터(6호기)와 연계한 하이브리드 컴퓨팅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2025년부터 2028년까지 총 482억 원의 국비가 투입된다.
‘Tempo’는 아이온큐가 개발한 이온트랩 기반 양자컴퓨터로, 높은 연산정밀도와 안정성, 확장성을 갖춘 장비로 평가받고 있다. KISTI는 Tempo를 기반으로 양자–슈퍼컴퓨팅 융합 플랫폼을 구축하고, 과학기술 및 산업 현장에서의 복잡 문제 해결을 위한 실증 연구와 산업 활용을 지원할 예정이다.
정부가 물리적 양자컴퓨터를 도입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단순한 연구 장비 설치를 넘어 실제 산업 문제 해결과 기술 생태계 확산을 위한 전략적 전환점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대전시는 이번 유치를 계기로 양자기술 허브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최근 2년간 대전은 양자대학원, 양자팹, 테스트베드, 스케일업 밸리, 국제협력센터, 퀀텀 플랫폼 등 주요 양자 관련 국가사업을 연달아 확보하며, 전국 최대 규모의 양자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있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양자컴퓨팅은 글로벌 기술 패권의 핵심이며, 이번 사업은 미래 주도권 확보를 위한 결정적 계기”라며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연구개발, 산업화, 인재양성을 아우르는 생태계를 조성해 대전을 ‘대한민국 양자수도’로 육성하겠다”고 강조했다.